청년도약계좌가 6월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건이 조금씩 변경되고 있고, 투자 방식도 추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 변경된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과 이에 따른 예상 기대 수익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가입 기간, 가입 연령은 기존 원안대로 변경 사항은 없습니다. 가입 소득 조건은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인데요. 7,500만 원이라고 정부 지원금 및 혜택이 주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의 표를 확인하겠습니다.
연 소득에 따라 혜택이 달라집니다.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및 가구 중위 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면 월 납입액의 정부 지원금 3~6%와 이자, 배당 소득세가 면제되는데요. 적금으로 환산해 보면 9 ~ 10% 수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 소득세 6,300만 원 이하인 사람은 정부 지원금 혜택은 없습니다. 하지만 투자에 대한 이자, 배당 소득세는 면제됩니다. 즉, 15.4%의 세금 면제 혜택이 있습니다.
투자 방식은 기존 예금, 적금, 펀드, 상장 주식에 회사채, 국채, 지방채 투자까지 늘어났습니다. 이는 청년희망적금과 차이를 두기 위함이라고 판단되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은 '적금' 한정이었다면, 청년도약계좌는 다양한 투자 방식의 도입으로 수익의 극대화를 노린 정부의 전략이라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다양한 투자 방식의 리스크는 가입자의 책임입니다.
다양한 투자 방식으로 예상 기대 수익을 판단하기는 어려워 '적금' 방식의 예상 기대 수익을 안내해 드립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정부 지원금 별 예상 기대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다음 내용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 가구 중위 소득 180%? 얼마나 될까요?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할까요?
-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교 및 차이점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별 예상 기대 수익은 얼마나 될까요?
- 청년도약계좌로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을까요?
청년도약계좌 조건 별 기대수익은 이렇습니다
6월 출시를 앞둔 청년도약계좌 조건 윤곽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소득 구간별 혜택 변경이 있었는데요. 이 글은 최신 청년도약계좌 정보와 예상 수익금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
infofof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