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뜻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
라고 규정합니다. 이 말은 1주일 근로 기간 중 꼭 하루는 휴일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말인데요. 즉, 휴일에도 지급되어야 하는 수당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아래의 표로 비교를 한번 해볼게요.
아르바이트 A와 B가 있습니다. 두 아르바이트 시급은 동일한데 아르바이트 A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고, 아르바이트 B만 주휴수당이 발생하였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바로 주휴수당 지급 조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휴 수당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시간 조건
주휴 수당은 모든 근로자라면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장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꼭 주의해야 할 2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 근무 시간: 근무시간은 일주일 동안 근무 시간이 최소 15시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 소정 근로일: 일주일동안 '개근'을 하여야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조건을 반드시 만족해야 주휴수당 지급 조건이 됩니다. 그럼 아르바이트 B는 주휴수당 조건이 되었으므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시간이 15시간으로 조건에 만족했기 때문이죠. 그러나 아르바이트 A는 일주일 근로시간이 9시간으로 주휴수당 지급 조건에 미충족 되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많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입니다. 개근과 최소 근로시간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주휴시간 계산법
주휴시간 조건에 부합되었다면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루 8시간 이상 근무 시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급 * 8시간 = 1주일 주휴 수당
간단하지요? 다음은 하루 8시간 미만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법입니다.
- 시급 * (1주일 근무시간/40시간) *8시간 = 1주일 주휴 수당
계산 방법에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하루 8시간 이상 근로자는 최대 8시간 인정이 되어 계산되지만 하루 8시간 미만 근로자는 평균 근로시간으로 주휴수당이 계산됩니다.
그렇다면 지각 또는 조퇴 시 주휴수당 지급이 안 될까요? 주휴일은 무조건 일요일일까요? 불규칙적 근로자는 주휴수당 지급 조건이 되지 않나요?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로 접속해서 확인부탁드립니다.
그뿐만 아니라 링크에는 다음의 내용들이 한 번에 함께 정리되어 있습니다.
- 주휴수당 지급 대상
- 주휴수당 제외 근로자는 누구일까요?
- 연차휴가 사용 시 주휴수당 지급 안될까요?
- 다양한 예제로 알아보는 주휴수당 계산법
- 다운로드 가능한 주휴수당 계산기 및 사용법
-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 해결 방법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 (정확한 임금 계산하기)
주휴수당 조건이 아리송한가요? 월급에 수당이 잘 적용이 되었는지 불안하시진 않으세요? 이 글은 주휴수당에 대한 불안함을 해소해 줄 것입니다. 목차 주휴수당 뜻 주휴수당을 알기 위해서는 '
infofof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