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납이연 적금 숨겨진 진실!

by 鄭☜☜®㎪ 2022. 10. 28.

금리가 계속 높아지면서 예금, 적금으로 관심이 많으시죠? 선납이연이라고 들어보셨을 겁니다. 금리가 높은 시기에 활용을 하면 좋다고들 하는데요. 과연 선납이연은 장점만 있을까요? 이 적금 방식이 정말 좋은 타이밍은 따로 있습니다. 

선납이연 적금은 왜 할까요?

'선납이연'이란 의미는 이렇습니다. 납입 회차보다 먼저 납입을 하고 나머지는 납입 회차보다 늦게 납입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적금 가입을 하고 매달 납입을 하지 않습니다. 일부는 일찍 납입(선납)을 하고 일부는 늦게 납입(이연)을 합니다. 그렇다면 왜 귀찮게 이런 방법을 사용할까요? 그것은 늦게 납입을 하는 납입금액의 활용에 정답이 있습니다. 늦게 납입을 하는 납입금액을 다른 곳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올릴 수가 있기 때문이지요. 

 

많은 분들이 착각을 하는 것이 선납이연 적금을 하면 이자가 두배가 된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거짓입니다. 일반 적금이나 선납이연 적금이나 이자로 받는 금액은 동일합니다. 위에서 언급을 했습니다. 다른 곳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올릴 수가 있습니다. 그 금액이 일반 적금보다 더 발생이 된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본인에게 여윳돈이 1,200만 원이 있습니다. 일반 적금 상품에 가입을 한다면 매달 100만 원씩 12개월 동안 납입을 하게 되지요. 매달 납입금액이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 투자를 못하고 여윳돈이 묶이게 됩니다. 

 

선납이연 방법을 사용하면 달라집니다. 1,200만 원의 일부를 선납으로 납입을 합니다. 600만 원을 선납하게 되면, 남은 금액은 600만 원입니다. 남은 금액으로 만기가 12개월인 예금 상품을 가입하게 되면 어떨까요? 맞습니다. 12개월에 대한 추가 이자가 생기게 되지요. 이것이 선납이연의 효과입니다. 700만 원으로 1,200만 원 적금과 동일한 이자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선납이연 적금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1. 선납이연이 되는 적금 상품인지 확인: 보통 선납이연이 되는 적금을 취급하는 곳은 2 금융권(단위 농협, 수협 등)입니다. 거의 취급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영업소마다 세부규칙이 다르므로 가입 전 반드시 확인을 하고 가입을 해야 합니다.
  2. 예금금리보다 적금금리가 최소 2%는 높은 상품: 선납이연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동일한 금리라면 예금의 세후 이자가 훨씬 높습니다. '2%'의 의미는 이자액을 계산할 때 설명드리겠습니다.
  3. 자유적금이 아닌 정기적금 상품: 자유적금은 선납이연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기간마다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선납이연 방법 3가지

이 방법의 핵심 포인트는 선납과 이연의 조합으로 만기이연일수를 최대한 '0일'에 수렴하도록 만들어 유지를 하는 것이지요. 지금부터 가장 대중적인 3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6-1-5 방법: 이것의 의미는 3번에 나누어 숫자에 적힌 납입회차의 금액을 납입을 하는 방법입니다. 1회 차에 6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7회 차에 1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마지막 12회 차에 5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납입 회차를 모두 합하였을 때 0일에 수렴이 됩니다. 615 방법의 장점은 7개월치의 납입액으로 12개월 적금의 효과를 누릴 수가 있습니다. 5개월치의 납입액을 적금 계약 마지막 달에 납입을 하기 때문입니다.
  2. 1-6-5 방법: 1회 차에 1회 치를 납입합니다. 2회 차에 6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12회 차에 5회 치를 납일을 합니다. 이 방법은 615 방법과 유사합니다.
  3. 1-11 방법: 1회 차에 1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7회 차에 11회 치를 납입을 합니다. 615, 165, 1-11 방법 중 목돈이 생기는 시기나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될 것입니다. 다음은 정말 선납 이연 적금이 효과적인지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예시를 통한 이자액 계산

위의 3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결과는 비슷하니 6-1-5 방법으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일반 적금 방법으로 매달 100만 원씩 12개월의 상품을 가입합니다. 금리는 5%이고, 이자세율은 15.4%입니다. 그렇다면 세후 수령액은 12,274,950원입니다. 이자소득이 274,950원이네요. 

 

동일한 금액으로 선납이연 방식으로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목돈 1,200만 원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선납이연 적금 12개월 만기 상품을 가입합니다. 선납이연은 마지막 12회 차에 잔액을 납입을 해야 되므로 12개월의 틈이 생깁니다. 그렇다면 7개월치의 금액을 제외한  5개월치의 금액(500만 원)을 12개월 만기 예금 상품으로 가입을 하세요. 그렇게 진행을 하면 문제가 생기지요? 예금이 가입된 상황이므로 선납이연 적금의 12회 차에 납입을 못하게 됩니다. 하지만 방법이 있습니다. 선납이연 적금의 마지막 납입일 하루나 이틀 전에 예금이 가입된 영업소에서 예금담보대출을 이용하면 됩니다. 예금을 가입한 영업소에서 예금액의 90~95%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어차피 하루나 이틀 정도만 대출을 이용할 것이기에 이자는 그리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적금 만기액으로 대출을 상환하면 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선납이연 적금(5%): 12,274,950원 + 예금이자(5%): 211,500원 - 대출이자(5%): 7000원 =12,479,450원

어떻습니까? 일반 적금보다 이자가 204,500원이나 더 많습니다. 약간의 귀찮음만 참는다면 아주 좋은 방법이지요? 선납이연 적금의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납입일을 항상 잘 체크를 해서 날짜를 잘 맞추어야 합니다. 그러나 선납이연 계산기가 있으니 걱정을 안 하셔도 됩니다. 예상 수령일부터 납입일 체크까지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링크해 두겠습니다.(https://snowman-calc.netlify.app/)

그럼 700만 원으로 1,200만 원 적금의 효과를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반 적금은 매달 58.5만 원씩 12개월의 상품을 가입합니다. 금리는 5%이고, 이자세율은 15.4%입니다. 그렇다면 세후 수령액은 7,180,846원입니다. 선납이연 방법으로 적용을 하면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선납이연 적금(5%): 12,274,950원 - 대출원금 및 이자(5%): 5,007,000원 = 7,267,950원

어떻습니까? 일반 적금보다 87,104원의 이자가 더 발생이 됩니다. 

 

그럼 예금과 선납이연 적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가입 금액은 1,200만 원이고 금리는 동일하게 5%입니다. 결과를 확인하겠습니다.

  • 예금: 12,507,600원(세후)
  • 선납이연: 12,479,450원(세후)

황당한 결과가 나오지요? 이럴 거면 그냥 예금 상품에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2%'의 의미가 이것입니다. 예금과 적금의 금리가 비슷하다면 예금상품에 가입을 하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이 둘의 금리 차이가 2% 이상 차이가 난다면 선납이연 적금이 좀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많은 매체에서 선납이연이 큰 수익을 가져다줄 것같이 말을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본인에게 목돈이 생기는 기간에 맞게 예금 및 적금을 비교해보고 현명하게 선택을 해야 하겠습니다.

 

아래는 저축은행 적금을 안전하게 가입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https://50fire.tistory.com/entry/%EC%A0%80%EC%B6%95%EC%9D%80%ED%96%89-%EC%A0%81%EA%B8%88-%EB%91%90-%EA%B0%80%EC%A7%80%EB%A7%8C-%ED%99%95%EC%9D%B8%ED%95%98%EB%A9%B4-%EC%95%88%EC%A0%84%ED%95%A9%EB%8B%88%EB%8B%A4

 

저축은행 적금, 두 가지만 확인하면 안전합니다

지금은 고금리 시대입니다. 그래서인지 요즘은 주식, 가상화폐 투자보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적금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금융권의 투자는 불안하시죠? 딱 두 가지만 기억하시

50fire.tistory.com

 

댓글